
우리 아이는 어떤 영향을 받을까? 같은 학부모로서 정리해봤어요.
👩👧 고교학점제, 왜 이렇게 말이 많을까?
안녕하세요. 큰아이는 올해 대학에 입학했고, 둘째는 지금 딱 고교학점제 적용 대상이 되는 예비 고등학생입니다.
처음엔 ‘대입이 또 바뀌는 건가?’ 하고 당황했지만, 차근차근 알아보니 그냥 지나치기엔 너무 중요한 제도더라고요.
그래서 오늘은 고교학점제가 뭔지, 성취평가제는 왜 바뀌는지,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저처럼 자녀 교육에 관심 있는 부모님들께 정리해서 공유드릴게요.
🏫 고교학점제가 뭐예요?
고교학점제는 말 그대로 학점을 기준으로 졸업하는 제도예요. 기존처럼 학교에서 정한 과목을 모두 이수하는 게 아니라, 학생이 진로에 맞게 과목을 선택하고, 학점을 채워 졸업하게 됩니다.
📌 핵심 변화
- 모든 학생이 똑같이 듣는 수업 → 자기 진로에 맞게 선택
- 수업 시간 중심 → 학점 중심으로 졸업 요건 결정
- 암기식 교육 → 참여형, 프로젝트형 수업으로 확대
📆 2025년, 무엇이 달라지나요?
✔️ 전국 일반계 고교 전면 시행
고교학점제는 2025년부터 모든 일반계 고등학교에 전면 시행됩니다.
✔️ 졸업 요건: 192학점
과목별로 주어지는 학점을 합산해 총 192학점을 채워야 졸업 가능하며, 일부 필수과목을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과목 선택이 가능합니다.
📊 성취평가제도 개편! 9등급 → 5등급
고교학점제와 함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바로 ‘성취평가제’입니다.
기존에는 9등급 상대평가였지만, 이제는 5등급 절대평가로 바뀝니다.
📐 어떤 차이가 있나요?
항목 | 기존: 9등급 상대평가 | 변경: 5등급 절대평가 |
---|---|---|
평가 기준 | 상위 몇 % 기준 | 일정 점수 이상이면 해당 등급 |
경쟁 구조 | 등수 경쟁 필요 | 개인 학습 성취 중심 |
등급 수 | 9등급 | 5등급 |
👉 예전엔 ‘상위 몇 %’ 안에 들어야 1등급을 받았지만, 이제는 기준 점수만 넘으면 누구든 1등급 가능해집니다.
⚖️ 장단점은 어떤가요?
👍 장점
- 불필요한 경쟁 완화
- 성실하게 공부한 학생이 인정받는 구조
- 진로 맞춤 과목 선택 시 유리
👎 단점
- 변별력 약화 우려
- 학교 간 평가 편차 발생 가능
- 자기주도 학습이 약한 아이는 어려울 수 있음
📚 과목 선택은 어떻게 하나요?
📌 과목 구성
- 기초 공통과목: 국영수 등 기본 과목
- 일반선택과목: 학문 기반 과목
- 진로선택과목: 직업·전공 연계 과목
👉 예를 들어, 디자인에 관심 많은 학생은 ‘미술 관련 과목’, 공학을 희망하면 수학·과학 중심 과목을 선택할 수 있어요.
🙋 부모님 Q&A 모음
❓ Q1. 우리 아이가 진로를 못 정했어요. 어떡하죠?
A. 고1은 공통과목 중심이라 부담 없어도 괜찮아요.
학교 내 진로 수업, 담임 상담 등을 통해 방향을 잡을 수 있게 도와줍니다.
❓ Q2. 선택 과목은 바꿀 수 있나요?
A. 일정 기간 내 변경 가능합니다.
학교마다 다르니 학기 초 교무실에 꼭 문의해보세요!
❓ Q3. 대학 입시에 불리한 거 아니에요?
A.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.
대학들도 선택 이유, 과정, 성취 내용 등을 평가 요소로 반영하고 있어요.
오히려 진로 연계 과목을 충실히 이수하면 유리할 수 있어요.
❓ Q4. 학교마다 운영 차이가 심하면 어떡하죠?
A. 교육부에서 온라인 공동교육과정, 대학 연계 프로그램 등 지원 체계를 마련 중이에요.
하지만, 학교별 상황은 여전히 다를 수 있으니 학부모 설명회 등 꼭 참석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!
🧩 마무리하며 – 불안보단 이해가 먼저
고교학점제와 성취평가제 변화는 분명 크고 중요한 변화입니다.
하지만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, 아이의 가능성을 넓힐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해요.
저도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처음엔 걱정도 많았지만, 지금은 이 제도가 우리 아이에게 자기만의 길을 찾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기대하고 있어요. 😊
👀 혹시 이 글에서 부족한 부분이나,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
같은 학부모 입장에서 성심껏 답해드릴게요.